드디어 태풍 예고가 오네요
본문
제주 지역에서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면서 12일부터 비가 내리고, 중·남부 지역에는 덥고 습한 공기가 대거 유입되면서 13일부터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중·남부 지역은 정체전선 영향권에 들지 않지만 수증기에 의한 비구름대 영향으로 국지적으로 많은 비가 내릴 수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강한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으로 정체전선이 북상하면서 이날부터 제주 지역은 장마에 들어갔다. 중·남부 지역은 따뜻한 수증기가 대거 유입되며 13∼14일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올해 제주 지역 장마는 평년(6월 19일)보다 일주일 빨랐는데, 평년에 비해 강해진 북태평양고기압이 정체전선을 밀어 올린 영향이 크다. 강수 변동성도 커졌다. 이날 기상청 단기예보에 따르면 13일까지 제주 지역 예상 강수량은 전날 예보보다 더 늘어났다. 당초 제주 지역 예상 강수량은 최대 80㎜ 정도였는데, 이날 단기예보에는 50∼100㎜(많은 곳 150㎜ 이상, 산지 200㎜ 이상)로 늘었다.
제주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정체전선은 북상하지 않고 동쪽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체전선이 동쪽으로 이동하며 생긴 빈 공간에는 필리핀 동쪽 해상에 위치한 열대저압부(태풍 전 단계)의 영향을 받은 수증기가 대거 북상하면서 중·남부 지역에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됐다. 기상청은 단기예보를 통해 수도권·강원 지역은 14일까지 5∼20㎜, 충청 10∼40㎜, 호남·경남 30∼80㎜(해안·산지 최대 100㎜ 이상), 경북 10∼60㎜ 정도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했다.
장마는 정체전선에 의해 비가 내리는 것을 말한다. 13∼14일 사이 중·남부 지역에 내리는 비는 정체전선의 영향보다는 수증기가 유입되며 내리는 것으로 장마로 분류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중·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15일에도 비가 내릴 수 있다. 14일 중국 남부 지역에 상륙하는 제1호 태풍 ‘우딥’의 세력이 점차 약화되며 수증기가 확산될 것으로 보이는데, 한반도에도 수증기가 유입되면서 비가 내릴 수 있다.
우진규 기상청 통보관은 “태풍이 중국 남부 지역에 상륙한 후 소멸할 때까지 수증기 유입 등 변동성이 크다”고 덧붙였다.
중기예보에 따르면 중·남부 지역은 다음 주 초반 비 소식이 없다.
한편 이날 오후 서울의 낮 최고기온은 32도로 예보돼 올해 들어 최고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13일부터 주말까지는 비의 영향으로 기온이 30도 이하로 내려가겠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