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행중에 멈출 수 없는 상황이 온다면??
본문
주행 중에 만약 멈출수 없는 상황이 온다면 어떻게 할까요?
제동거리가 된다면 멈출수도 있지만 부족하다면 추돌사고가 나게 됩니다.
속도가 붙은 상황이라면 피하려다 혼자 넘어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멈출수 없다면 피해야합니다..
주행중에 문제가 보이면 브레이크, 감속이 우선입니다.
만약 추돌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브레이크를 풀고 카운터 스티어링 핸들을 밀어야 합니다.
리어타이어는 회전하면서 바이크를 밀어주는 역할, 추력을 담당하고 프론트 타이어는 좌우로 조향하면서 바이크 기울기를 제어해 바이크 선회를 한다는건 잘 알고계실겁니다.
리어 타이어를 이용해 가속 할때는 리어에 하중이 실리고 핸들을 조작해 프론트 바퀴를 사용하면 프론트에 하중이 실립니다.
브레이크를 잡으면 프론트에 하중이 실리는 건 모두 알고 있을 겁니다.
바이크와 상황에 따라 버틸수 있는 최대부하가 있겠죠. 브레이크와 핸들을 같이 쓴다면 최대값을 쉽게 초과 할 수 있고 초과하지 않으려면 나누어 써야 됩니다.
피하는 상황에서는 제동보다는 회피가 목적이기 때문에 브레이크를 포기하는 겁니다.
이때 잡고 있는 브레이크를 놓으면 일시적이지만 프론트가 가벼워 지면서 핸들에 대한 최대 값이 일시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브레이크를 놓고 핸들을 쓰는 겁니다.
잘 피하고 넘어지는 것도 중요합니다.
이것도 곧 경험이겠죠...
안전하고 집에 무사히 갈 수 있는 라이딩 즐기세요!
19
추천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2